목록부산 (94)
fussreise
부산역 차이나타운 1884년 부산 초량동에 청나라 영사관이 설치되었는데 당시 주위에는 중국(청국)사람들의 점포를 겸한 주택이 형성되었다. 그 점포가 있는 거리를 ‘청관거리’라고 했고, 용두산 주위에 있었던 일본인의 ‘왜관거리’에 대비하여 부르던 말이었다. 광복과 한국전쟁이 ..
부산에 왔으면 돼지국밥을 먹어야지. 실은 초량 돼지갈비를 먹을 생각이었으나, 시간이 맞질 않아 점심메뉴를 돼지국밥으로 수정. 이 음식점 바로 뒤는 용두산공원. 용두산공원 위치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용두산공원길 33번지 홈페이지 : http://yongdusanpark.bisco.or.kr/ 용두산공원은 예로..
부산근대역사관 부산근대역사관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 지어진 건물로서 식민지 수탈기구인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되었고, 1949년부터는 미국 해외공보처 부산문화원이 되었다. 1999년 대한민국으로 반환된 것을 그 해 6월 부산시가 인수하여 우리의 아픈 역사를 알릴 수 있..
자갈치시장 – 남포동, 광복동 – 서면 – 동래읍성 – 복천박물관 – 동래시장 동래시장 일제강점기인 1910년대 자연적인 5일장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3.1 만세운동의 시발점이 되기도 한 곳이다. 1930년대 상인들이 목조건물을 세우며 본격적인 시장의 형태를 띄기 시작하며 부산의 대표적..
자갈치시장 – 남포동, 광복동 – 서면 – 동래읍성 – 복천박물관 – 동래시장 복천박물관 사적 제 273호인 복천동고분군에서 발굴된 각종 유물들을 전시하여, 고대 부산지역의 가야 문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1996년 10월 5일 개관하였다. 덧널무덤(목곽묘),구덩식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
자갈치시장 – 남포동, 광복동 – 서면 – 동래읍성 – 복천박물관 – 동래시장 동래읍성 동래는 남해안의 요새지로서 고대부터 왜구의 침입 때문에 성을 쌓아 이에 대비하였고 이후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년 4월 14일에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이 왜군을..
자갈치시장 – 남포동, 광복동 – 서면 – 동래읍성 – 복천박물관 – 동래시장 서면 부전동과 전포동 일대를 서면이라고 부르는데, 현재 행정구역명에는 있지 않은 이름이나 부전동 일대를 부르는 명칭이며 부산에서 가장 번화한 곳이다. 원래 서면은 동래군의 하위 행정구역명이었는데..
자갈치시장 – 남포동, 광복동, 국제시장 – 서면 – 동래읍성 – 복천박물관 – 동래시장 BIFF광장 BIFF광장은 부산시 중구 남포동, 부평동 일원이다. 남포동에 극장들이 자리 잡게 된 것은 8·15해방 후 극장이 한 두 군데 생기면서부터 60년대에 이르러 20여 개소의 극장이 이곳에 밀집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