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부산 (94)
fussreise
을숙도 낙동강이 운반해온 토사가 하구에 퇴적되어 형성된 하중도이다. 북쪽에는 다른 하중도인 일웅도와 좁은 수로를 사이에 두고 접해 있다. 그밖에 주변에 맥도·대저도·명호도 등의 하중도가 있으며 이들은 김해평야의 중심을 이룬다. 남쪽에는 대마등·진우도·장자도 등의 사주..
정공단 임진왜란의 첫 접전지는 부산이며 부산진성을 지키던 정발장군은 첫 접전지에서 장렬하게 전사했다. 정장군과 같은 충용의 장군이 열사람만 되었더라도 우리가 받았던 피해와 고통은 그 지경이 아니었을 것이라 한다.충장공 정발장군의 충령을 모신 사당이 정공단이며 좌천1동..
범일역에서 범일동시장으로 가는 길에는 철길 위 구름다리가 있다. 2003년 개봉한 영화 <친구>에서 장동건과 유오성이 뜀박질하던 육교다. 이 다리를 건너면 지금은 사라진 삼일극장 자리로 이어진다. 길을 건너려고 횡단보도에 서면 건너편에 보림극장이 보인다. 지금 건물은 다른 ..
연산동에서 바라본 황령산 황령산 정상에서 바라본 부산의 모습들 황령산 봉수대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석성 봉수대 및 간비오산 봉수대와 더불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425년(세종 7) 이전부터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
부산역으로 가는 도중 버스 안에서 바라본 낙동강의 일몰 상해 거리로 불리는 초량 청관 거리는 1884년 오늘날의 초량 화교학교 자리에 청국영사관이 설치되면서,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일대에 설정된 청국 조계지에서 비롯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청관 거리, 차이나타운 등의 명칭으로 ..
녹산공단의 벚꽃과 장미꽃 토성역에 내려 임시수도기념관으로 가는 길 임시수도기념관은 1984년 6월 25일 개관하여 2000년에 건물복원 공사를, 2002년에는 전시실 공사를 통해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임시수도기념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건물은 1926년 경상남도 도청 건립과 함께 ..
범어사를 대중교통으로 가는 방법은 범어사역 5번 출구로 나와 골목길을 올라가서 90번 버스를 타면 된다. 내려올때도 내렸던 장소가 종점이기 때문에 다시 90번 버스를 타면 된다. 도보로 가면 지하철역에서 40분 가까이 소요되었던 것 같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本寺)이다. 『..
해운대의 크리스마스 트리 영도대교에서 바라본 야경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축하하는 12월 겨울, 용두산공원 일부구간과 광복동거리 전역에서 펼쳐지는 축제는 화려한 일루미네이션, 스토리가 있는 포토존, 40여일 동안 펼쳐지는 문화 공연, 시민이 참여하는 체험프로그램 등 다양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