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ssreise

세종 홍판서댁, 부강성당 (세종 부강) 본문

충청도

세종 홍판서댁, 부강성당 (세종 부강)

fussreise 2025. 3. 29. 12:19

새벽5시부터 오후 2시까지만 영업을 하는 곳인데, 뼈해장국 국물이 정말 걸쭉하니 맛있다.

또한 막걸리가 무제한이라 더욱 마음에 드는 곳이다.

 

 

 

 

 

 

 

세종 홍판서댁

안채 대청에 적힌 상량문에 의하면 고종 3년(1866)에 지은 집이다. 논밭이 완만한 경사지에 남향으로 자리하였다. 한단 높은 'ㄷ'자형 안채와 한단 낮게 지어진 'ㄷ'자형 사랑채가 맞물려 'ㅁ'자 평면을 이루고 있다. 안마당은 정사각형인 듯 반듯한 폐쇄성이 강한 평면이다.

문을 들어서면 앞면에 사랑채가 안채를 향하지 않고 문쪽으로 향하여 자리잡고 있다. 가운데는 몸채이고 안채쪽으로 꺾어진 좌우 1칸씩은 날개에 해당한다. 몸채는 대청과 아래·윗방으로 되어있고 앞에는 툇마루를 놓았다. 양 옆 날개부분은 곳간과 방·함실이다.

안채 역시 몸채와 날개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몸채인 넓은 대청과 안방이 남향하여 위치한다. 안방과 대청을 모두 남향하여 배치한 것은 경기도·황해도·충청도 등 중부지방에서 형성하는 평면구성이다. 안채의 오른쪽 날개부분은 길다란 부엌이 배치되었고 그 옆의 샛문간은 사랑채와 연결이 된다.

왼쪽 날개부분은 상방과 부엌 그리고 사랑채 곳간과 연결이 되는 중문간이 있다. 안마당에는 우물, 뒷동산에는 장독대가 있으며, 뒤뜰에는 향나무·감나무·대추나무 등이 알맞은 자리에 자리잡았다.

고전적인 기법으로 만들어진 이 집은 현존 상태도 비교적 양호한 편이며, 그 일대에서는 드문 ㅁ자형 평면을 지니고 있어 지정·보존하고 있다.

 

 

 

 

 

 

 

 

 

 

 

홍판서댁 구경을 마치고 부강성당으로 향했다.

 

 

부강성당

현재의 성당 건물은 1962년에 완공하였으며, 이전에 성당으로 사용했던 한옥도 그대로 남아있어, 전통적 양식의 한옥 성당과 석조 로마네스크풍으로 지어진 북미식 교회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현재의 성당이 공존하고 있어 건축사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성당의 외형에서 눈에 띄는 것은 긴 종탑이 성당 중앙 상단이 아닌 입구 오른쪽에 자리한 것이다.  종은 과거 성당에서 구호품을 나눠줄 때 쳤는데 지금으로 치면 사회복지 활동인 셈이다. 사제들은 미군 부대 등에서 목재 등을 실어와 인근 지역에 극빈자를 위한 주택 20 가구를 건립하며 빈민 구호에 힘썼다. 부강성당은 도시 성당의 웅장함과 성스러움에 익숙하기에 시골 성당의 소박하고 정갈한 느낌이 더 특별하게 느껴진다. 경내 안에는 둘레 2~3m, 성당 높이만 한 느티나무가 있는데, 성당을 봉헌하며 심은 작은 나무가 어느새 성당 높이만큼 자랐다.

 

 

 

 

 

 

성당 내부에는 컵초를 무인판매하고 있다.

 

 

 

 

 

 

 

 

부강성당 구경을 마치고 인근 시장에서 모듬수육에 소주 한잔

 

 

입가심으로 부강역 맞은편 치킨집에서 맥주 한잔.

 

 

 

'충청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곡사 성보박물관 (공주여행)  (0) 2024.08.04
마곡사 (공주여행)  (0) 2024.08.04
유구섬유역사전시관 (공주여행)  (0) 2024.08.04
유구색동수국정원 (공주여행)  (0) 2024.08.04
청주 문화제조창  (0) 202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