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ssreise

월화원 (수원 효원공원) 본문

수도권

월화원 (수원 효원공원)

fussreise 2013. 5. 24. 10:59

 

월화원

중국 영남(남쪽)지역의 전통정원으로 중국 명조말~청조 초기에 남아있는 민간의 정원 형식을 기초로 현대기술과 결합하여 조성한 것이다. 산수자연의 미와 영남원림의 특징을 표현 하였으며, 건축설계는 개방(투시와 열림)을 강조하고, 원림공간과 건축공간은 서로 연계되어 일체가 되게 하고, 대비와 조화를 동시에 꾀하며, 전체 공간 효과(이미지)를 고려하여 공간을 구분하였다. 건축물은 벽돌 - 목조구조(광동지역의 고건축양식)로 광동원림건축의 독특한 공예술 및 회색의 오지기 등과 색이 조화를 이루도록 담장은 청벽돌 또는 백색 가루로, 목조구조는 나무껍질 색깔로, 목조 조각(현판 등)은 갈색 등으로 하였다. 후원은 대경(對景), 점경(點景), 차경(借景) 등 관동지역 원림의 장경(障景)을 이용한 전통조성수법으로 인공호수와 가산(假山), 제한된 공간에 한편의 자연경관으로 조성하였다. 가산의 폭포, 돌 사이로 흐르는 계류, 꼬불꼬불한 작은 길, 4곳의 화원, 가산의 정자, 광동건축소품으로 장식한 배모양의 정자와 건축물내의 다실(茶室), 고저차이 등은 정원 전면의 중정과 서로 대경(對景)을 이루며 또한 서로 조화를 이룬다. 이외, 정원의 일부 지역에 생명력이 비교적 강한 남방수종을 식재하여 영남원림의 특색을 표현하도록 한다.

관람시간 : 오전9~오후6(연중개방)

홈페이지 : https://tour.suwon.go.kr/sub/theme_tour/theme_tour_11_01.asp?depth2=11&depth3=1

 

 

 

 

 

 

 

 

 

 

 

 

 

 

 

 

 

 

 

 

 

 

부용사

부용사는 식물 연꽃 부용을 따서 정자이름을 지어 연꽃정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중국원림 건축방식인 권붕 헐산식의 기법을 활용하여 지어진 건물로 전시와 휴식의 공간으로 쓰인다.

 

 

 

 

 

우정

땅을 파내어 연못을 만들고 파낸 흙으로 산을 만들었다. 산 정상에 지어진 중연정은 정원 전체의 중요한 명소로 정원 전체를 내려다 볼 수 있어 월화원의 초점이 된다. 정자의 지붕은 두 개 층으로 지어 높임으로써 돋보이게 하였다.

 

 

 

 

 

 

월방

월방은 중국원림 건축의 대표적인 건축물의 하나이다. 영남지방은 강과 호수가 잘 어우러져 있어서 이러한 건축양식은 원림속의 수경과 잘 어우린다.

 

 

 

 

 

 

 

 

 

 

 

 

 

 

 

 

 

 

 

 

 

 

옥란당

옥란당은 옥란이라는 식물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것으로 접대와 휴식의 장소로 사용된다. 중국 고건축의 헐산권붕(산이 휴식하고 누각을 말아 올린다. 즉 한 번 꺽이고 끝이 말아서 올라간 형식의 지붕)의 기법을 사용하였다.

 

 

 

 

 

 

 

 

 

 

 

 

지춘

봄을 느낀다는 뜻으로 중국원림 건축의 전통적인 정원의 문으로 파초잎은 정원의 지역성을 나타낸다.

 

 

 

 

 

누창

중국 원림건축양식의 일종으로 공간을 침투하게 하고 담장면 형식을 다양하게 하였다.

 

 

 

 

 

 

'수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구공원  (0) 2013.06.18
인천상륙작전기념관  (0) 2013.05.27
인천 시립박물관  (0) 2013.05.23
물향기 수목원  (0) 2013.05.22
수원 올림픽공원, 인계예술공원, 효원공원, 나혜석거리.  (0) 2013.05.21